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덤프버전 : (♥ 0)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2018 FIFA U-17 Women's World Cup
Copa Mundial Femenina Sub-17 de la FIFA Uruguay 2018
파일:2018 FIFA U-17 Women's World Cup Official Logo.png
대회기간11월 13일 ~ 12월 1일
개최국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번째 우승)
준우승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3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위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수상
골든볼파일:스페인 국기.svg 클라우디아 피나
골든부츠파일:가나 국기.svg 무카라마 압둘라이 &
파일:스페인 국기.svg 클라우디아 피나 (7점)
연표
이전 대회2016 FIFA U-17 여자 월드컵
(요르단)
다음 대회2022 FIFA U-17 여자 월드컵
(인도)

Same Game, same emotion

1. 개요
2. 예선
2.1. 본선 진출팀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4. 대회 진행
4.1. 조별 리그
4.1.1. A조
4.1.2. B조
4.1.3. C조
4.1.4. D조
4.2. 결선 토너먼트
4.3. 우승
5. 여담
6. 공식 스폰서십
6.1. FIFA 파트너
6.2. 우루과이 국내 스폰서



1. 개요[편집]


2018년 11월 13일부터 12월 1일까지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FIFA U-17 여자 월드컵의 6번째 대회.


2. 예선[편집]




2.1. 본선 진출팀[편집]


대륙본선 진출팀
UEFA(유럽)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첫 출전)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CONMEBOL(남미)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개최국)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CONCACAF(북중미&카리브)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CAF(아프리카)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AFC(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OFC(오세아니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이번 대회 참가국 중 FIFA U-17 여자 월드컵을 우승해 본 나라는 3개인데 해괴하게도 모두 아시아 팀이다. 일본은 2014년에, 북한은 2008년2016년에 우승했고, 한국은 2010년에 결승전에서 일본을 승부차기로 꺾고 우승했다. 이것이 지금까지 한국 축구가 FIFA 주관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기록이다. 2012년에는 프랑스가 우승했지만 프랑스는 이번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도시경기장수용 인원
몬테비데오에스타디오 차루아14,000명
말도나도에스타디오 도밍고 부르게뇨 미구엘22,000명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에스타디오 프로페소르 알베르토 수피치6,500명


4. 대회 진행[편집]



4.1. 조별 리그[편집]


1위 (결선 진출)2위 (결선 진출)3위 (탈락)4위 (탈락)
A조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B조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C조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D조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가나 국기.svg가나330010 - 1+99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2013 - 306
3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30122 - 5-31
4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30122 - 8-61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11.13.(화) 16:00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0 : 5가나파일:가나 국기.svg몬테비데오
2018.11.13.(화) 19:00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1 : 0핀란드파일:핀란드 국기.svg
2018.11.16.(금) 16:00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1 : 2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8.11.16.(금) 19:00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1 : 3가나파일:가나 국기.svg
2018.11.20.(화) 17:00파일:가나 국기.svg가나2 : 0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1 : 1우루과이파일:우루과이 국기.svg말도나도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4.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31207 - 1+65
2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1202 - 1+15
3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31114 - 2+24
4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30121 - 10-91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11.13.(화) 14:00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0 : 0일본파일:일본 국기.svg말도나도
2018.11.13.(화) 17:00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0 : 0남아공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8.11.16.(금) 16:00파일:일본 국기.svg일본6 : 0남아공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8.11.16.(금) 19:00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 : 0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
2018.11.20.(화) 14:00파일:일본 국기.svg일본1 : 1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공1 : 4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몬테비데오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4.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독일 국기.svg독일32018 - 2+66
2파일:북한 국기.svg북한32016 - 5+16
3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31022 - 5-33
4파일:미국 국기.svg미국31023 - 7-43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11.14.(수) 14:00파일:미국 국기.svg미국3 : 0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
2018.11.14.(수) 17:00파일:북한 국기.svg북한1 : 4독일파일:독일 국기.svg
2018.11.17.(토) 14:00파일:독일 국기.svg독일0 : 1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
2018.11.17.(토) 17:00파일:미국 국기.svg미국0 : 3북한파일:북한 국기.svg
2018.11.21.(수) 17:00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1 : 2북한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독일4 : 0미국파일:미국 국기.svg몬테비데오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4.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321010 - 1+97
2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2015 - 506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30212 - 5-32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0121 - 7-61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11.14.(수) 16:0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0 : 4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몬테비데오
2018.11.14.(수) 19:00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 : 0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8.11.17.(토) 16:0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0 : 2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2018.11.17.(토) 19:00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1 : 1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
2018.11.21.(수) 14:00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5 : 0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1 : 1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콜로니아 델 사크라멘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대한민국 내 중계
경기방송국중계해설
대한민국 vs 스페인SBS배성재장지현
대한민국 vs 캐나다KBS2이재후한준희
콜롬비아 vs 대한민국MBC SPORTS+신승대이상윤, 심서연


4.2.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 3·4위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2 : 2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2 pen. 4)
2018.11.25.(일) 16: 00 - 몬테비데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 : 0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2018.11.28.(수) - 19:00 - 몬테비데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 : 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8.12.01.(토) 19:00 - 몬테비데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0 : 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2018.11.25.(일) 19:00 - 몬테비데오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 : 1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3 pen. 4)
2018.11.24.(토) 17:00 -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0 : 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8.11.28.(수) 16:00 - 몬테비데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 : 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2018.12.01.(토) 16:00 - 몬테비데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 : 1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3 pen. 1)
2018.11.24.(토) 14:00 -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이며, 무승부 시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가 실시되었다.


4.3. 우승[편집]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첫 번째 우승)
스페인이 첫 번째 우승을 차지함으로서 스페인은 프랑스에 이어 두 번째로 FIFA U-17 여자 월드컵을 우승한 유럽 팀이 되었다.


5. 여담[편집]


사실 2019 프랑스 여자 월드컵이 열리기 전 여자 축구의 강호로 평가받던 아시아의 몰락의 징조로도 볼 수 있다. 아시아 대표로 나서 대한민국, 북한, 일본 3개국이 나갔는데 대한민국, 북한, 일본의 경우 FIFA U-17 여자 월드컵을 우승한 적이 있는 나라들이고, 북한의 경우에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자 축구 강국이다. 게다가 이 세 나라 모두 여자 축구의 남미라 불리는 아시아 예선을 돌파한 나라들이고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여자 축구의 강호 일본을 격파하고 본선에 올라갔고 북한은 아시아 예선 챔피언 그리고 일본은 말이 필요없는 여자 축구의 강호이다.

그래서 축구 전문가들은 일본은 우승권 대한민국, 북한을 다크호스로 보았는데 이게 왠걸 대한민국은 본인들보다 전력이 떨어진다고 평가됐던 스페인, 캐나다에 덜미가 잡히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일본 역시 여자축구 약체에 속하는 뉴질랜드에게 덜미가 잡히며 8강에서 떨어졌고, 북한 역시 대한민국을 격파한 스페인에게 지며 8강에서 떨어졌다.

즉, 이 때부터 아시아 여자 축구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고 유럽 여자 축구가 강해지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 스페인의 경우 강호로 평가받던 남자 축구와 달리 여자 축구는 약팀이라는 인식이 많았는데 오히려 이 대회에서 여자 축구의 다크호스로 평가받는 대한민국, 북한을 격파하고 우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여자 축구 팬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6. 공식 스폰서십[편집]



6.1. FIFA 파트너[편집]


  • 아디다스: 독일 스포츠용품 회사. 대회별 공인구 독점 제공 및 심판복 지원.
  • 코카콜라: 미국 음료회사. (파워에이드: FIFA 주관 대회 공식 스포츠 음료.)
  • 완다 그룹: 중국 부동산개발 및 영화관체인회사.
  • 가스프롬: 러시아 천연가스회사.
  • 기아자동차: 대한민국 자동차회사.
  • 카타르 항공: 카타르 항공회사.
  • 비자카드: 미국 신용카드회사.[1]


6.2. 우루과이 국내 스폰서[편집]


  • Antel: 우루과이 국영 통신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41:17에 나무위키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아공 월드컵부터 후원사가 되었다. 그 전까지만 해도 후원사는 마스타카드였다.